분류 전체보기 42

KOSPI200 선물과 미결제약정의 상관관계

1️⃣ KOSPI200 선물 기본 구조기초자산: KOSPI200 지수 (대형주 200개 종목으로 구성)호가 단위: 0.05pt승수: 1pt당 500,000원만기: 3·6·9·12월의 두 번째 목요일2️⃣ 실전 예시 ① — 상승 + 미결제약정 증가📅 2024년 9월 15일선물지수: 315.20 → 318.50 (▲3.30pt)미결제약정: 235,000 → 245,500 (+10,500)거래량: 180,000계약🔍 해석:가격 상승 + 미결제약정 증가 → 신규 매수자 유입매도자는 새로운 매수자에 대응하여 숏 포지션을 잡았지만, 결과적으로 시장은 매수세 우위상승세에 ‘진짜 돈’이 들어왔음을 확인✅ 상승 추세 신뢰 가능성 높음3️⃣ 실전 예시 ② — 하락 + 미결제약정 증가📅 2024년 10월 5일선물지수:..

선물 2025.05.09

미결제약정이란

🔍 미결제약정이란?미결제약정은 말 그대로 아직 청산되지 않은 선물 계약의 수입니다.선물은 매수자(롱 포지션)와 매도자(숏 포지션)가 한 쌍을 이루어 거래되므로, 한 쌍의 계약이 체결되면 미결제약정이 1 증가합니다.그리고 이 계약 중 누군가가 포지션을 청산(=반대 포지션을 취함)하면 미결제약정은 감소하게 됩니다.📌 핵심 정리선물 거래 체결 = 매수자 + 매도자 → OI +1양쪽 모두 청산 = OI -1한쪽만 청산하고 다른 쪽은 유지 = OI 변동 없음🧠 쉽게 이해하는 예시💡 사례 1 – 신규 계약 증가A가 선물을 신규 매수B가 동일 선물을 신규 매도→ 미결제약정 +1 (새 계약 생성)💡 사례 2 – 기존 계약 청산A가 보유하던 매수 포지션 청산B도 동시에 매도 포지션 청산→ 미결제약정 -1 (계약..

선물 2025.05.08

ETF 작동 원리

ETF의 작동 원리ETF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합니다:운용사(자산운용사)가 ETF를 설계합니다.이 ETF는 특정 지수나 테마를 기준으로 구성됩니다.투자자는 ETF를 주식처럼 매수/매도할 수 있습니다.ETF는 기초지수의 흐름에 따라 가격이 실시간으로 변동합니다.즉, ETF를 한 주만 사더라도 해당 지수에 포함된 수십~수백 개의 종목에 간접적으로 투자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ETF 수익 구조는 어떻게 되나요?ETF의 수익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1. 시세 차익ETF 가격이 상승했을 때 매도하면 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예시: A씨가 1주에 10,000원 하던 ETF를 100주 매수한 뒤, 1년 후 12,000원이 되었을 때 매도했다면→ 시세 차익: 2,000원 × 100주 = 200,000원2..

ETF 2025.04.23

채권의 작동 원리

채권의 작동 원리채권의 구조는 매우 간단하지만, 금리와 시장 상황에 따라 가격이 변동되는 점이 특징입니다.작동 원리 요약:정부 또는 기업이 채권을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합니다.투자자는 채권을 매수하고, 정해진 이자(예: 연 3%)를 정기적으로 수령합니다.만기일이 되면 원금(액면가)을 돌려받게 됩니다.채권은 만기 이전에도 자유롭게 매매 가능하여, 시장 가격에 따라 시세 차익 손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실제 예시로 보는 채권 수익 구조예시: A회사가 3년 만기, 연 이자율 5%, 액면가 1,000,000원의 회사채를 발행했다고 가정해봅시다.투자자가 이 채권을 1,000,000원에 매수했다면, 매년 50,000원의 이자를 3년간 받게 되고, 만기 시 원금 1,000,000원을 돌려받게 됩니다.총 수익은 150,..

채권 2025.04.23

옵션의 작동 원리

옵션의 작동 원리옵션은 기본적으로 다음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기초자산(Underlying Asset): 옵션이 대상으로 하는 자산 (예: 삼성전자 주식, KOSPI200 지수 등)행사가격(Strike Price): 옵션을 행사할 수 있는 가격만기일(Expiration Date): 옵션의 유효 기간이 끝나는 날옵션 프리미엄(Premium): 옵션을 사기 위해 지불하는 비용예시로 쉽게 이해하기예를 들어, 현재 삼성전자 주식 가격이 70,000원일 때, 투자자 A는 행사가격이 75,000원인 콜옵션을 1,000원에 구매했다고 가정해봅시다.만기일에 주가가 80,000원이 되었다면, A는 75,000원에 주식을 사서 시장에서 80,000원에 팔 수 있으므로 5,000원의 차익을 얻고, 옵션 비용 1,000원..

옵션 2025.04.23

선물의 작동 원리

선물 작동 원리 "선물 거래? 그건 전문가들만 하는 거 아닌가요?"이런 생각, 한 번쯤 해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선물의 작동 원리를 정확히 이해하면, 의외로 단순한 구조임을 알 수 있습니다.선물이란?**선물(Futures)**은 말 그대로 "미래에 사고팔기로 한 계약"입니다. 주식처럼 지금 당장 사서 보유하는 게 아니라, 특정 시점에 정해진 가격으로 자산을 거래하기로 미리 약속하는 겁니다.예를 들어, 코스피200 선물은 코스피200 지수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거래합니다. 투자자는 이 지수가 앞으로 오를지 내릴지 예측해서 베팅하죠.이때 두 가지 포지션이 있습니다:매수(Long): 지수가 오를 거라고 예상매도(Short): 지수가 내릴 거라고 예상선물 거래의 핵심 개념1. 레버리지 효과선물 거래는 전체 금액이..

선물 2025.04.22

주식의 작동 원리

주식 작동 원리주식은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일종의 지분증서입니다. 투자자가 기업의 주식을 산다는 것은 그 회사의 일부를 소유하는 것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A기업이 1,000주의 주식을 발행했고 당신이 그 중 10주를 보유하고 있다면, 당신은 A기업의 1% 지분을 가진 주주입니다.주주가 되면 어떤 권리가 있을까?배당 수익: 기업이 이익을 낼 경우 주주에게 이익의 일부를 나눠줍니다.주가 상승 이익: 매수 가격보다 주가가 오르면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의결권: 일정 비율 이상의 주식을 보유하면 회사 경영에 의견을 낼 수도 있습니다.주식 시장은 어떻게 움직이나요?주식은 대부분 **증권거래소(예: 한국거래소, KRX)**에서 거래됩니다. 이곳에서는 수많은 매수자와 매도자가 실시간으로 거래..

주식 2025.04.17

ETF란

ETF (Exchange Traded Fund)ETF는 특정 지수, 섹터, 자산군의 성과를 추종하도록 설계된 펀드로, 주식처럼 거래소에서 실시간으로 거래되는 투자 상품입니다. 특징: ETF는 주식, 채권, 원자재, 통화 등 다양한 자산을 포함하며, 특정 지수(예: KOSPI200, S&P 500, 나스닥100) 또는 테마(친환경 에너지, 헬스케어)의 성과를 복제합니다. ETF는 펀드지만 개별 주식처럼 매수·매도할 수 있어 접근성이 높습니다. 유동성: ETF는 주식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며, 거래량이 많은 ETF는 높은 유동성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SPY(S&P 500 ETF)는 세계에서 가장 거래량이 많은 ETF 중 하나입니다. 비용: ETF는 뮤추얼펀드에 비해 운용 보수가 낮습니다. 평균적으로 E..

ETF 2025.04.14

채권이란

채권 (Bonds)채권은 발행자가 차입금을 상환하기로 약속하며 발행하는 채무 증서로, 투자자에게 정기적인 이자와 만기 시 원금을 제공합니다. 특징: 채권은 발행자가 정부, 지방자치단체, 기업, 국제기구 등일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채권을 구매함으로써 발행자에게 자금을 빌려주고, 그 대가로 이자(쿠폰)를 받습니다. 만기 시 원금이 상환됩니다. 위험성: 채권은 주식보다 변동성이 낮지만, 두 가지 주요 위험이 있습니다. 첫째, 신용 위험(발행자가 디폴트할 가능성)입니다. 예를 들어, 재무 상태가 부실한 기업의 채권은 위험도가 높습니다. 둘째, 금리 위험입니다. 시장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 가격이 하락합니다. 수익 구조: 채권은 쿠폰 이자와 만기 상환 원금으로 수익을 제공합니다. 일부 채권(제로쿠폰채)은 이자를 ..

채권 2025.04.14

옵션이란

옵션 (Options)옵션은 특정 자산을 정해진 기간 내에 정해진 가격(행사가격)으로 매수(콜 옵션)하거나 매도(풋 옵션)할 권리를 부여하는 계약입니다. 특징: 옵션은 권리를 제공하지만 의무는 부과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옵션 매수자는 계약을 행사하지 않을 경우 손실이 프리미엄(옵션 가격)으로 제한됩니다. 반면, 옵션 매도자는 프리미엄을 수익으로 얻지만, 가격이 불리하게 움직일 경우 큰 손실을 감당해야 합니다. 유형: 콜 옵션은 자산 가격 상승에 베팅하며, 풋 옵션은 가격 하락에 베팅합니다. 옵션은 주식, 주가지수, 원자재, 통화 등을 기초 자산으로 합니다 레버리지: 옵션은 적은 프리미엄으로 큰 규모의 자산을 통제할 수 있어 높은 레버리지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 주식 100만 원어치를 통제하려..

옵션 2025.04.14